327일 금요일이상준 간증

 

 

1. 사순절 스물일곱 번째 날입니다. 좀처럼 확산세를 멈추지 않는 COVID-19로 인해 우울하고 불안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바라기는 오늘도 하나님께서 이 모든 위기를 능히 감당할 수 있는 은혜와 힘을 주시길 기원합니다.

 

2. 오늘 아침 묵상은 우리 교회 이상준 학생이 준비한 자기 고백으로 대신하려고 합니다. 교회에서는 흔히 이런 걸 간증이라고 하죠. 이상준 학생은 제 아들입니다. 자신이 영어로 쓰고 직접 한국어로 번역까지 해서 보내 주었습니다. 제가 틀린 번역만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3. 요즘 코로나19로 오랫동안 집에만 있으면서 요즘 자신이 겪고 있는 아픔과 고민을 여러 사람과 함께 나누어 자신의 심정을 정리하고 싶었는지 자신의 고백을 정리한 글을 우리 교회 아침 묵상에 올려달라고 했습니다.

 

4. 제 아들이기 이전에 제가 섬기는 우리 교회 교인의 자격으로 이상준 학생이 쓴 간증을 교인들과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간증을 들으시고 이상준 학생을 위해 기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5. 먼저 지금 같은 어둡고 불안한 시기 가운데서 모든 분이 건강히 잘 지내시길 바랍니다. 저는 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면서 제 삶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며 깨달은 것을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었습니다.

Hello everyone. I hope everyone’s doing well in these dark and uncertain times. With all the

extra time staying home, I have had a lot of time to reflect about my life and would like to share

some of the things I have learned.

 

6. 제가 나누려는 이야기는 평소에도 거의 얘기하지 않고 혼자서만 알고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 가족들에게도 한 번도 말하지 않았던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제 이야기가 다른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고 격려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 이야기를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This is usually a very uncomfortable topic for me to talk about, and I mostly keep this to myself, I don’t think I’ve even told my family about this, but I hope it can be encouraging in any way for those of you reading this.

 

7. 모든 사람은 상처를 받으며 삽니다. 비록 저는 아직 어리지만, 누구보다 아픈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많이 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만의 아픔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이것을 모두가 아셨으면 좋겠어요. 제가 다른 이들의 아픔을 잘 이해하지도 느끼지도 못하는 것처럼 여러분들도 제 아픔을 이해 못 하실 것입니다. 그래서 제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Everyone gets hurt. I believe I know very well what it’s like to be hurt, but we all hurt very differently, and I believe everyone needs to understand that. Just like I wouldn’t know how you’re hurting, you wouldn’t know what I’ve been through, so I would like to tell you my story.

 

8. 다들 조금씩은 아시겠지만, 저는 어렸을 때부터 매우 아팠습니다. 심할 때는 일주일에도 여러 번씩, 심각한 두통과 가위눌림으로 인해 새벽에 잠이 깨서는 고통으로 인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날이 꽤 많았습니다. 왜 제게 이런 고통이 오는지도 몰랐습니다. 그리고 나중에야 제가 앓고 있는 병이 모야모야라는 희귀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As many of you vaguely know, I had some serious health issues growing up. I would get

excruciating headaches and terrifying sleep paralysis episodes in the middle of the night

multiple times a week almost every week for many years and very lately found out I had a rare

disease called moyamoya.

 

9. 여러 의사를 만나 원인을 찾으려 했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발견하는 데에는 길고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처음에 의사가 속눈썹이 눈을 찔러서 머리가 아프다고 진단을 해서 필요에도 없는 눈 수술을 일학년 때 받았습니다. 하지만 수술 후에도 여전히 두통과 가위눌림이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저는 정확한 이유도 모른 채 고통을 참고 견뎌야 했습니다. 이유도 모른 채 계속해서 아파야 했던 것이 저에겐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절망적으로 만들었습니다.

I went through so many doctors and really tough testing to even get to the point to even find out what it was. My first few doctors thought it was related to my eyelashes poking my eyes and went to even unnecessarily perform surgery on my eyes in my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ving so many failed attempts to fix my headaches let alone even knowing what it was put me through a lot of stress and hopelessness.

 

10. 결국, 9학년 때 좋은 의사를 만나게 되었고, 의사의 권유로 육체적으로 대단히 힘든 검사를 여러 번 받았습니다. 거진 일 년 동안 계속된 복잡하고 힘든 검사를 통해 의사는 제가 앓고 있는 병이 모야모야라는 희귀병이라고 했습니다.

Eventually in 9th grade, a good doctor recommended me taking a series of very complex and physically taxing medical scans related to brain blood flow over the course of a year and finall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 had a highly progressed form of the rare disease moyamoya.

 

11. 고등학교를 시작한 지 몇 주 되지 않아 두 차례의 뇌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회복하기 위해 남은 일 년을 휴학하게 되었습니다. 그 휴학했던 일 년이 지금까지 제 삶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I had two brain surgeries after the first two or three weeks of my high school sophomore year and had to take the rest of the school year off to recover. That year off school was one of the most difficult times of my life.

 

12. 아직도 그때의 제 모습을 기억하면 끔찍하기만 합니다. 짧게 깎은 머리에 스테이플 39개가 양쪽 머리의 꽂혀있는 모습은 제가 보기에도 힘들었습니다. 아직 15살밖에 되지 않은 저한테는 육체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매우 아프고 힘든 일이었습니다.

I still remember having a shaved, bloody head with 39 staples total on either side and thought I looked terrible. It was extremely painful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for a naive 15 year old.

 

13. 휴학하던 일 년 동안은 거의 집에서 심심하고 외롭게 지냈습니다. 마땅치 할 일이 없어서 열심히 요리를 배워, 먹고 싶었던 거 자주 해 먹었습니다. 피아노랑 기타 치면서 노래 부르고 책도 많이 읽었습니다.

Throughout that year I mostly stayed at home alone with nothing to do, so I started learning how to cook and cooked a lot, played piano and guitar to sing, and read a lot.

 

14. 저는 이렇게 일 년을 보내는 것이 너무나 원망스러웠습니다. 다른 친구들처럼 평범한 학교생활을 못 한다는 것이 너무나 외롭다 못해 억울하기까지 했습니다. 저는 단지 평범한 학생이 되고 싶었었죠.

I couldn’t help but think that I was lonely and that this wasn’t what normal 10th graders do. I just really wished to be normal and couldn’t stop thinking that I didn’t do anything to deserve this.

 

15. 저는 잘못한 것도 없는데 왜 나만 아파서 집에 있는지 억울했습니다. 빨리 원인을 찾지 못한 의사들도 원망했습니다. 평범한 학교생활 대신 회복을 위해 휴학하기로 한 저 자신까지 원망하기 시작했습니다.

I was mad at not being able to be normal and why it took so long for doctors to figure out. I resented myself for taking my first year at high school off for recovery instead of enjoying school with friends.

 

16. 그때 저는, 제가 겪는 정신적 아픔과 외로움에만 집중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비관적인 생각을 오랫동안 계속하다 보니 이것이 습관이 되었고 결국은 심각한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I could only focus on all the undeserved pain and loneliness. This constant negative outlook and pessimism about my situation became a habit, and I fell into getting severe depression.

 

17. 그 후로 몇 년간 우울증을 앓으면서 우울증에서 벗어나려고 이런저런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그때 제가 찾은 최고의 방법은 열심히 공부만 해서 슬픈 마음이 생길 여유도 없애려고 했습니다. 이러면 아픈 것도 잊을 것 같았고 부모님에게도 걱정 안 끼치게 될 것 같았습니다. 원하는 대학에 입학하고 언젠간 성공해서 그때 올 행복을 막연히 기대하며 힘들게 공부에만 열중했습니다.

For the next few years with depression, I greatly struggled to learn how to handle the pain and emptiness. My best solution I could think of was in hopes to not let my parents worry or get disappointed, I studied intensely and made succeeding my whole life thinking it would eventually make me happy.

 

18. 우울증을 떨쳐내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 결과 만점에 가까운 학점과 시험 점수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는 것에 실패했습니다. 원하는 대학에 떨어지자 그동안 그렇게 열심히 공부했던 것이 아무 소용도 없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당장의 목표가 무너지자 저는 더욱 심한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I got the near perfect GPA, SAT, and ACT scores I wished for, completed and got credit for 12 AP courses, and volunteered for countless hours in hopes of getting into a prestigious college and counting on becoming a successful doctor in the future to gain my happiness. However, I failed to get into the colleges I had wished for.


19. 대학을 다니면서도 고등학교 때와 똑같은 방법으로 혼자 우울증에서 벗어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으로는 제 우울증을 치유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I suffered with depression on my own for years by just working as hard as I could, so I wouldn’t

get distracted by depressed feelings. This wasn’t the right way to heal at all.

 

20. 지금까지 저는 늘 미래의 행복과 성공만 보고 달려왔습니다. 그리고 남에게 착하게 보이려고 애를 썼으며 제가 성취한 일을 가지고 부모님을 비롯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것에만 집중하며 살았습니다.

Instead of actually thinking about what would make me as an individual happy, I was persistent in trying to gain respect and acceptance from others through my accomplishments or being the nice person I was taught to be.

 

21. 하지만 도대체 나는 이렇게 노력하는데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지 몰랐습니다. 남에게 더 많이 인정받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하였지만, 여전히 저는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I never really knew why I wasn’t getting better until recently late last year when depression started to get as bad and even worse as it was back then. Even after all the hard work I forced myself to do to make me feel happy, I still felt so hopeless, empty, and in pain all the time.

 

22. 너무 힘들고 지친 나머지 지푸라기도 잡는 심정으로 상담 치료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상담 치료는 저에게 큰 힘이 되었으며, 상담 치료를 받기 시작하면서부터 저의 문제에 대해 좀 더 객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 decided it was time to really think about what was making me so hurt, so I desperately started going to therapy.

 

23. 지금까지 저는 두 번의 큰 수술과 그 이후 겪어야 했던 힘든 시간 때문에 우울증이 생겼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It was really helpful and seriously provoked me to think about what it was that was giving me such a hard time. I thought it was just the surgeries and hardships I’ve gone thro ugh but it wasn’t.

 

24. 제가 겪고 있던 진짜 문제는 나의 행복을 다른 사람의 인정과 칭찬에 지나치게 의존하였다는 것입니다. 이제야 나의 행복은 다른 사람들에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장래의 성공이 나를 자랑스럽게 만들고 행복하게 할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을 떨쳐내는 것이 저에게 너무나 힘든 일이었습니다.

It was how poorly I dealt with the situation by depending on others’ acceptance and others’ words of advice in how to become happier. I’ve just recently learned that happiness comes from within and that only I know how to make myself happy. It was really hard to let go of my long held belief that future success will eventually make me proud of myself in my work and give me more opportunities to become happy.

 

25. 저는 제가 우울증에서 벗어나 좀 더 행복해지려면 제 삶에 일어난 너무나 불공평하여 억울하게 여겨지는 것에 초점을 두고 살기보다는 내 주변에서 나를 아껴주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잘 안되고 힘들지만 말입니다.

I realized how much happier I could have been throughout all these years if I hadn’t just focused and noticed the bad things in life. I was always complaining about being in pain and how unfair the situation was for me and not noticing all of the extremely supportive and loving people around me in my life.

 

26. 행복이란 게 제 주변 사람들이 특별한 조건이나 이유 없이 베풀어 주는 사랑과 배려와 보살핌을 제가 받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데 있음을 압니다.

I realized happiness for me comes in the form of acknowledging all the small and sincere actions and expressions of love, appreciation, and care people around me have for me.

 

27. 저는 제가 아무런 성취나 성공을 하지 않았어도 가족이랑 친구들이 저를 아무런 조건 없이 사랑하고 감사해하고 보살핌을 주고 있음을 이제야 깨닫고 있습니다.

I started to really see this through my family and closest friends whom I am infinitely grateful for.

 

28. 저에게 또 다른 행복은 아무런 조건 없이 다른 사람에게 사랑을 나누는 것에서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제 진심을 담아 따듯한 말이나 행동을 하고 이것이 남에게도 감동을 주는 것을 느낄 때 행복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Happiness was also unconditionally expressing my own sincere feelings through small and sincere actions and doing what I love best. It didn’t matter what others thought about me it was about the expressing and sharing unconditional love with others.

 

29.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으려고 억지로 노력하는 것보다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다른 사람을 도우려고 할 때 제가 겪고 있는 우울증에서 조금이나마 자유를 얻습니다.

The more things that I did for myself and my own happiness rather than just to impress or please others, the more I felt liberated from this depression.

 

30. 무엇이 문제인지를 머리로는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힘든 일이 닥치면 또다시 비관적인 생각에 빠질 때가 아직도 많습니다. 저는 그럴 때마다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며 이보다 더 힘든 일도 겪었는데 이 정도쯤이야 아무것도 아니야 하며 이겨내려고 애쓸 것입니다.

However, I still fall into my long practiced habit of falling into negative outlooks on life and utter pessimism. Every time I fall into these depressing times, I try my best to tell myself that I am worthy of love and that I can get through this because I’ve been through worse before.

 

31. 이것이 지금까지 제가 겪어야 했던 고통과 아픔 그리고 우울증을 통해 배운 인생의 수많은 퍼즐 가운데 몇 가지 퍼즐입니다. 이 우울하고 힘든 시기에 저의 이야기를 통해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단 한 분이라도 조금이나마 위로가 됐으면 합니다.

These are just a few pieces of the puzzle I have found through my experiences and hope that you too will be able to find peace in depressing and painful times by focusing on the small things that make you happy and do your best in making decisions that will ensure your own happiness.

 

32. 그리고 제가 우울증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저의 부족한 이야기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

www.jayoochurch.com

jayooch@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