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 15:6-15
6 명절이 되면 백성들이 요구하는 대로 죄수 한 사람을 놓아 주는 전례가 있더니
7 민란을 꾸미고 그 민란중에 살인하고 체포된 자 중에 바라바라 하는 자가 있는지라
8 무리가 나아가서 전례대로 하여 주기를 요구한대
9 빌라도가 대답하여 이르되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 주기를 원하느냐 하니
10 이는 그가 대제사장들이 시기로 예수를 넘겨 준 줄 앎이러라
11 그러나 대제사장들이 무리를 충동하여 도리어 바라바를 놓아 달라 하게 하니
12 빌라도가 또 대답하여 이르되 그러면 너희가 유대인의 왕이라 하는 이를 내가 어떻게 하랴
13 그들이 다시 소리 지르되 그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14 빌라도가 이르되 어찜이냐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하니 더욱 소리 지르되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하는지라
막15:15 빌라도가 무리에게 만족을 주고자 하여 바라바는 놓아 주고 예수는 채찍질하고 십자가에 못 박히게 넘겨 주니라
1. 사순절 서른여섯 번째 날이자 고난주간 둘째 날입니다.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묵상하며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르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하나님의 크신 위로와 평강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2. 로마제국의 총독 빌라도는 백성들의 인기와 민심을 얻기 위해 바라바 대신 무죄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는 불의하고 비겁한 판결을 내립니다.
3. 마가복음 15장 15절입니다. 빌라도가 무리에게 만족을 주고자 하여 바라바는 놓아 주고 예수는 채찍질하고 십자가에 못 박히게 넘겨 주니라
4. 하지만 빌라도의 불의하고 비겁한 판결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유대 군중들의 선택입니다. 바라바를 놓아주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게 한 빌라도의 판결에는 유대 군중들의 선택과 요구가 있었습니다.
5. 불과 나흘 전, 예수님께서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수많은 유대 군중들은 자신의 하나뿐인 겉옷을 벗어 바닥에 깔고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예수님을 열광적으로 환호했습니다.
6. 하지만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예수님을 열광적으로 환호했던 유대 군중들은 빌라도의 법정에 끌려온 예수님을 보면서도 바라바를 풀어주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칩니다.
7. 도대체 왜 유대 군중들은 예수님 대신 바라바를 선택한 것일까요? 불과 며칠 만에 군중들의 마음이 예수님에게서 바라바로 옮겨간 이유가 도대체 무엇이었습니까?
8. 채 일주일도 되지 않은 짧은 시간에 유대 군중들의 마음이 바뀐 이유를 알기 위해선 저들이 도대체 왜 그토록 열광적으로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을 환호했는지 알아야 합니다.
9. 그렇다면 유대 군중들은 무엇 때문에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 성에 들어오시는 예수님을 그토록 열광적으로 환호했습니까?
10. 유대 군중들은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들어오시는 예수님을 보면서 구약성경 스가랴서가 예언하였던 로마제국의 식민 지배로부터 이스라엘을 해방하실 메시아로 믿었기 때문입니다.
11. 유대 군중들의 생각에는 가는 곳마다 병든 자를 치유하시고, 다섯 덩어리 빵과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 명을 먹이시는 예수님께서 로마제국을 물리치실 구세주가 되실 것이라고 확고히 믿었습니다.
12. 하지만 유대 군중들의 이러한 생각은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완전히 바뀌고 말았습니다. 유대 군중들은 종교지도자들의 고발에 빌라도의 법정 앞에 끌려와 심문받는 무기력하고 무능력해 보이는 예수님의 모습을 본 것입니다.
13. 사람들의 조롱과 모욕 앞에, 그리고 빌라도의 심문에 아무 말도 하지 않으시는 예수님의 모습은 자신들이 기대했고 생각했던 메시아의 모습과는 너무나 달랐습니다.
14. 군중들은 수치와 모욕을 당하며, 종들에게조차 조롱을 당하면서도 아무런 대꾸도 못 하는 힘도 능력도 없는 무기력한 예수님의 모습을 본 것입니다.
15. 군중들의 눈에 비친 예수님의 모습은 그들이 기대하고 상상했던 것과는 너무나 다른 무능력한 모습이었습니다.
16. 하지만 유대 군중들은 예수님 대신 놓아 달라고 요구하였던 바라바에게서 그들이 원했던 모습을 본 것입니다.
17. 마가복음은 바라바를 소개하기를 단순한 강도가 아니라 민란을 일으켰던 사람이라고 기록합니다.
18. 마가복음 15:7 민란을 꾸미고 그 민란 중에 살인하고 체포된 자 중에 바라바라 하는 자가 있는지라
19. 바라바가 일으킨 민란은 로마의 통치에 대한 민란이었습니다. 비록 그는 폭력을 일삼는 자였지만, 로마의 군사들에게 칼과 창으로 대적하는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20. 유대 군중들에게는 침묵과 무능과 무기력한 모습으로 빌라도의 법정에 서 있는 예수님보다는, 차라리 민란의 주동자인 바라바가 그들의 기대와 그들의 생각에 훨씬 더 적합한 인물이었습니다.
21. 결국, 이런 이유로 인해 예수님 대신 바라바를 놓아 줄 것을 빌라도에게 요구한 것입니다. 그리고 빌라도는 유대 군중들에게 만족을 주고자 바라바를 놓아주고 죄 없으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판결한 것입니다.
22. 물론 예수님 대신 바라바를 놓아 달라는 유대 군중들의 선택에는 대제사장들의 충동과 선동에 영향을 받기도 했습니다.
23. 하지만 유대 군중이 너무나 쉽게 대제사장들의 거짓 충동에 움직인 것은, 저들 역시 무력한 예수님 보다 폭력적이지만 힘 있는 바라바를 더 원했기 때문이었습니다.
24. 예수님 대신 바라바를 선택한 유대 군중들의 문제는 단지 이천 년 전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것은 여전히 우리 시대 우리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25. 우리가 믿으려고 하는 하나님은 그리고 예수님은 과연 어떤 분이십니까? 과연 우리는 성경이 가르치고 있는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을 믿고 있습니까? 아니면 내가 바라고 원하는 전지전능하신 예수님만을 믿으려고 하고 있지는 않으신지요.
26. 예수님께서 당시 종교지도자들에게 미움을 받고 십자가에 달려 죽으면서까지 원하셨던 것은 하나님의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만들기 원하셨습니다.
27.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달려 죽기까지 우리에게 베풀기를 원하셨던 은혜는 거짓된 세상, 불의한 세상, 타락한 세상에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
28. 하지만 오늘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원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가 아니라 내가 바라고 소원하는 것이 이루어지는 세상이 아니었는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29.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내가 이루길 원하였던 것이 하나님 나라가 아닌 나만 잘 먹고 잘살기를 바라고 원했다면 우리 역시 예수님이 아닌 바라바를 선택하고 있는 것입니다.
30. 무기력해 보이는 예수님 대신 강력해 보이는 바라바를 선택한 유대 군중들의 선택을 기억하면서 내가 정말 원하고 있는, 내가 정말 믿고 있는 예수님의 모습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31.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고난주간을 보내며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내가 얻으려고 했던 것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고 돌아보시길 바랍니다.
32. 과연 우리가 믿는 예수님은 십자가의 길을 가시며 우리에게도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고 하신 예수님을 믿고 있습니까?
33. 아니면 아무런 책임도 부담도 없이 그저 한없이 축복만 해주는 예수님을 원하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의 믿음을 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의 기도】
독생자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시어 우리를 구원하신 하나님 아버지!
고난주간을 보내며 예수님께서 가셨던 십자가의 길을 우리도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이 가신 십자가의 길을 따라가려는 영적 도전과 깨달음이 있게 하옵소서.
예수님 대신 바라바를 선택한 유대 군중들의 선택이 오늘 우리의 선택이 되지 않도록 예수님을 제대로 믿는 믿음의 사람이 되게 하옵소서.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 고난받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