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5:1-5
1 이스라엘 모든 지파가 헤브론에 이르러 다윗에게 나아와 이르되 보소서 우리는 왕의 한 골육이니이다
2 전에 곧 사울이 우리의 왕이 되었을 때에도 이스라엘을 거느려 출입하게 하신 분은 왕이시었고 여호와께서도 왕에게 말씀하시기를 네가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며 네가 이스라엘의 주권자가 되리라 하셨나이다 하니라
3 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헤브론에 이르러 왕에게 나아오매 다윗 왕이 헤브론에서 여호와 앞에 그들과 언약을 맺으매 그들이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니라
4 다윗이 나이가 삼십 세에 왕위에 올라 사십 년 동안 다스렸으되
5 헤브론에서 칠 년 육 개월 동안 유다를 다스렸고 예루살렘에서 삼십삼 년 동안 온 이스라엘과 유다를 다스렸더라
1 All the tribes of Israel came to David at Hebron and said, "We are your own flesh and blood.
2 In the past, while Saul was king over us, you were the one who led Israel on their military campaigns. And the LORD said to you, 'You will shepherd my people Israel, and you will become their ruler.'"
3 When all the elders of Israel had come to King David at Hebron, the king made a compact with them at Hebron before the LORD, and they anointed David king over Israel.
4 David was thirty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reigned forty years.
5 In Hebron he reigned over Judah seven years and six months, and in Jerusalem he reigned over all Israel and Judah thirty-three years.
1. Covid-19의 위협 가운데 또 한 주를 시작합니다. 한 주간도 주의 말씀을 묵상하며 하루를 시작하는 모든 분들에게 하나님의 도우심과 보호하심이 충만하길 축복합니다.
2. 다윗이 유다 지파의 왕으로 기름 부음을 받은 지 7년 6개월 만에 이스라엘 모든 지파의 왕으로 추대되어 이스라엘 열두 지파 모두를 다스리는 왕의 자리에 오릅니다.
3. 일찍이 다윗은 선지자 사무엘을 통해 기름 부음을 받고는 장차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울 것이라는 언약의 말씀을 받았습니다.
4. 시작은 좋았습니다. 소년 다윗은 무려 사십일 동안 아침저녁으로 이스라엘 진영에 나타나 하나님과 이스라엘을 조롱하는 블레셋 거인 장수 골리앗을 물맷돌 하나로 무너뜨렸습니다.
5. 골리앗을 넘어뜨린 다윗은 단숨에 이스라엘의 영웅으로 떠올랐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소년 다윗의 용맹함을 칭찬했습니다.
6. 특별히 이스라엘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여인들은 다윗의 용맹함을 칭찬하며 노래를 만들어 불렀습니다.
7. 삼상18:7 여인들이 뛰놀며 노래하여 이르되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한지라
8.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에게서 얻은 갑작스러운 인기와 칭찬은 결코 다윗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9. 여인들의 노래는 이스라엘 모든 백성에게 다윗의 이름을 알리는 기회가 됐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인들의 노래로 인해 다윗은 사울 왕의 미움을 받아야 했습니다.
10. 다윗의 인기가 올라갈수록 사울 왕은 다윗에게 자신의 왕권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미워하였습니다.
11. 사울은 다윗을 자신의 사위로 삼아 그를 통제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다윗의 인기는 점점 커져만 갔습니다.
12. 결국, 사울은 자신의 왕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다윗을 죽여야 한다고 결심했습니다. 그 순간부터 다윗을 죽이려는 사울의 광기는 엄청났습니다.
13. 다윗은 사울을 피해 오랫동안 광야를 전전하며 살아야 했고, 심지어 이스라엘의 원수 블레셋으로 망명하여 살아야 했습니다.
14. 계속되는 광야 생활과 블레셋 망명 생활은 다윗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신다는 하나님의 언약이 도무지 이루어지지 않을 것만 같았습니다.
15. 하지만 오랜 광야 생활의 고난 가운데서도 다윗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았습니다.
16. 마침내 다윗을 증오하던 사울 왕이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고 죽습니다.
17. 사울이 죽자 다윗은 다시 이스라엘로 돌아오게 됩니다. 다윗이 돌아오자 유다 지파는 다윗을 이스라엘 왕으로 내세웁니다.
18. 모든 것이 소년 다윗에게 예언하신 하나님의 언약대로 이루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다윗에게 더 많은 시간과 기다림을 요구하셨습니다.
19. 사울의 군대 장관이었던 아브넬이 사울의 막내아들 이스보셋을 꼭두각시 왕으로 내세웁니다. 언약의 성취는 또다시 미루어졌습니다.
20. 이스라엘은 북쪽의 열한 지파를 다스리는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과 남쪽 유다 지파를 다스리는 다윗으로 갈리어져 끊임없는 전쟁을 시작하게 됩니다.
21. 전쟁이 계속될수록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다스리는 북이스라엘은 점점 약해져 갔고 반면에 다윗이 다스리는 남 유다는 점점 강해졌습니다.
22. 더는 이스보셋이 다스리는 북이스라엘에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 이스보셋의 부하 바아나와 레갑 형제가 자신들이 섬겼던 이스보셋을 암살합니다.
23. 이스보셋의 죽음으로 북이스라엘에는 더는 사울의 뒤를 이을 마땅한 후손이 없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스라엘 열두 지파 모두가 다윗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고 하나님 앞에서 언약을 맺습니다.
24. 마침내 하나님께서 선지자 사무엘을 통해 다윗에게 주신 언약이 온전히 성취된 것입니다.
25. 삼하5:3 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헤브론에 이르러 왕에게 나아오매 다윗 왕이 헤브론에서 여호와 앞에 그들과 언약을 맺으매 그들이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니라
26. 다윗은 이제 명실상부 완전한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이제 앞으로 그에게는 탄탄대로의 형통과 평안함만 있을 것만 같았습니다.
27. 하지만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았습니다. 산 넘어 산이라고 변화된 상황은 다윗에게 또 다른 문제를 가져왔습니다.
28. 다윗이 왕이 되었다고 아무런 걱정도 없이 어려움도 없이 마냥 형통하고 평안한 삶만 살지 않았습니다.
29. 광야에서는 광야에서의 고난이 있었다면 왕이 되어서는 왕으로서 감당해야 하는 고난과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30. 오히려 이전보다 더 큰 어려움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31. 많은 사람이 착각하는 것이 있습니다. 지금 당면한 이 문제가 지나가기만 하면, 힘든 이 시간이 지나가기만 하면, 지금 이 사건만 해결되기만 하면, 이것만 잘되기만 하면 앞으로는 장밋빛 인생, 탄탄대로가 펼쳐질 것이라고 착각합니다.
32. 하지만 이런 식으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우리는 날마다 경험하며 살고 있습니다.
33. 자녀들 대학만 보내면 만사에 아무런 걱정도 없이 살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막상 자녀들 대학에 보낸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던가요?
35. 사업이 잘되기만 하면 아무런 걱정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막상 사업이 잘된다고 아무런 걱정도 없이 탄탄대로의 인생을 살 수 있던가요?
36. 물론 지금 당장 너무 힘들고 고통스러우니까 이것만 지나면 모든 게 다 해결될 거야 생각하면 당장 어려움을 버틸 힘이 되기도 합니다.
37. 하지만 이것은 최악의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런 식의 생각은 도무지 아무런 희망도 보이지 않는 극단적인 경우에만 제한되어야 합니다.
38. 그렇지 않고 모든 일에 이런 식으로 살게 되면 성공 후에 새로운 시련이나 어려움이 닥치면 그것을 극복하려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그만 제자리에 주저앉고 맙니다.
39. 만약 다윗이 이제 자기는 왕이 되었으니 더는 광야 시절과 같은 고통과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했다면 다윗은 왕이 되어서 겪어야 했던 고통과 실수로 인해 완전히 무너지고 말았을 것입니다.
40. 하지만 다윗은 왕이 되어서 범했던 실수나 왕이 되어서 겪어야 했던 고난과 역경 가운데서도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41. 어떻게 그럴 수 있었습니까? 다윗은 자신이 광야에서 겪어야 했던 고난과 역경을 통해 예상치 못한 고난과 역경을 견디고 이기는 방법을 훈련하고 배웠기 때문입니다.
42. 다윗은 자신이 겪어야 했던 모든 고통과 고난 역경을 결코 인생의 낭비라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어려울수록 하나님을 더욱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43. 하나님께서는 세상 모두가 실패라고 생각하는 것을 통해, 고통이라고 여기는 것을 통해 오히려 믿음의 사람을 더욱 강성하게 만들어 가십니다.
【오늘의 기도】
인생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 살면서 우리가 겪는 실수나 실패, 역경이나 고난을 낭비하지 않으시고 우리를 연단 하시고 훈련하여 이전보다 더 강성한 사람이 되게 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
jayoochur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