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일 수요일-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빌립보서 2:5-8(개역개정, NIV)
5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6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7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8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순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5 Your attitude should be the same as that of Christ Jesus:
6 Who, being in very nature God, did not consider equality with God something to be grasped,
7 but made himself nothing, taking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being made in human likeness.
8 And being found in appearance as a man, he humbled himself and became obedient to death--even death on a cross!
1. 우크라이나에서 더 많은 희생이 없도록 하루속히 전쟁이 끝나고 이전의 일상을 회복하는 평화가 임하길 간절히 기도하며 수요일 아침 묵상 시작합니다.
2. 오늘은 2022년 사순절 첫 번째 날이자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또는 참회의 수요일이라고 부르는 날입니다.
3. 오늘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4월 16일 토요일까지 전 세계의 교회는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기억하고 기념하며 주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사순절로 보냅니다.
4. 사순절은 40일을 의미하며 오늘부터 4월 16일까지 여섯 번의 주일(Sunday)을 뺀 나머지 40일을 사순절이라고 합니다.
5. 오늘을 재의 수요일이라고 부르는 데에는 오랜 종교적 전통 때문입니다.
6. 매년 사순절을 시작하는 수요일에 작년 종려주일 때 사용했던 종려 가지를 태운 재를 물에 적셔 이마에 십자가 성호를 그리면서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임을 기억하라”고 한데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7. 사순절을 시작하며 교회가 이런 예식을 하게 된 이유는 다 타고난 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원이 없는 인간의 삶이 얼마나 허망하고 무의미한 것인지를 깨달으라는 것입니다.
8. 그래서 사순절을 보내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을 통해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시고 구원해 주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가 얼마나 크고 놀라운지를 체험하라는 것입니다.
9. 교회가 40일간을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묵상하는 기간으로 삼은 것은 A.D 325년 니케아 회의(Council of Nicea)에서 결정된 것입니다.
10.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기념하며 동참하기 위해 40일을 지키기로 한 것은 40이라는 숫자가 성경에서 대단히 중요한 기간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11.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탈출시킨 모세가 하나님께서 주시는 십계명을 받기 위해 시내 산에서 보냈던 날짜가 40일이었습니다.
12.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까지 광야에서 지냈던 햇수가 40년이었습니다.
13.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한 예수님의 공생애를 시작하기 전 예수님이 광야에서 금식하며 기도하셨던 날짜가 40일이었습니다.
14. 그리고 십자가에 달려 죽임당하신 예수님께서 부활하시고 세상에 머무셨던 날짜가 40일이었습니다.
15. 이처럼 40이라는 숫자가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상징하고 있기에 40일(사순절)을 예수님의 고난을 기억하고 동참하는 기간으로 교회가 정하게 된 것입니다.
16. 전통적으로 교회는 사순절 동안 금식과 절제를 통해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구제와 선행을 베풀므로 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하였습니다.
17. 물론 교회가 전통적으로 지켜왔던 방법으로도 사순절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18. 하지만 이런 것보다 더 본질적으로 예수님의 고난을 기억하고 동참하는 것은 십자가의 길을 가신 예수님의 마음을 배우는 것이라 믿습니다.
19. 예수님께서 걸어가신 십자가 고난의 길을 기억하고 동참하는 것은 예수님께서 몸소 보여주셨던 예수님의 삶을 배우고 닮는 것입니다.
20. 세상은 교회를 다니는 사람을 크리스천 즉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릅니다.
21. 그리스도인이란 뜻이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닮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22. 기독교 역사에서 예수 믿는 사람들이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 불렸던 교회는 바울과 바나바가 목회하였던 최초의 이방인 교회 안디옥 교회였습니다.
23. 행11:26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
24. 그렇다면 예수님을 닮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합니까?
25. 예수님을 닮는 것은 예수님의 마음을 닮는 것입니다.
26. 그래서 바울은 권면하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배우고 품으라고 합니다.
27. 예수님의 마음을 배우고 품는 것이야말로 예수님을 가장 잘 닮는 길입니다.
28. 그런데 우리는 예수님을 구세주라고 믿는다고 하면서도 예수님의 마음을 닮지 못합니다.
29. 왜 우리는 예수님의 마음을 닮지 못할까요? 예수님의 마음을 배우고 닮는 것이 힘들기 때문일까요?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30. 우리가 예수님의 마음을 닮지 못하는 가장 솔직한 이유는 예수님의 마음을 닮고 싶은 마음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입니다.
31. 그렇게 오랫동안 교회를 다녀도 우리가 변하지 않는 이유는 예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정작 예수님을 닮으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32. 대부분 교인이 교회를 다니는 것은 괜찮지만 굳이 예수님 마음까지 닮아야 하는가 의문을 가집니다.
33. 왜 그렇습니까? 예수님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면 세상에서 손해 볼 일이 너무나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34. 우리는 예수님을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정말 우리가 사랑하는 분은 예수님이 아닙니다.
35. 우리가 정말 사랑하는 것은 예수님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주실 것 같은 나의 이익입니다.
36. 성경은 우리가 닮아야 할 예수님의 마음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37. 빌2:6-8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순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38. 예수님이 세상을 구원하는 그리스도(메시야)가 되신 것은 세상에서 대단한 성공을 하셨거나, 부자가 되셨거나, 권세를 잡으셨기 때문이 아닙니다.
39. 하나님의 아들로 세상에 오신 예수님은 이 모든 것을 가지실 수 있으나 이 모든 것을 내려놓으셨기 때문입니다.
40. 그리스도인이라는 우리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41. 성공이, 많은 돈이, 가진 힘과 권세가 그리스도인을 존귀하게 하고, 복 있는 사람이 되게 하며 우리를 구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42. 우리를 정말 존귀하게 하고, 복 있는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은 예수님을 닮은 겸손한 마음, 남들보다 자신을 낮추려는 마음입니다.
43. 2022년 사순절, 매년 반복되는 연중행사로만 여기지 않고 예수님의 겸손하신 마음과 자신을 낮추셨던 마음과 자세를 배우고 훈련하고 실천하는 사순절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기도】
탐욕과 전쟁으로 얼룩진 이 땅에 주님의 평화가 임하게 하옵소서. 주님이 가진 십자가의 길을 기억하고 동참하는 2022년 사순절을 통해 주님의 마음을 배우고 훈련하고 닮아가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
jayoochur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