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0일 금요일-의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이 왜 배부를 수 있는가?

 

마태복음 5:6 (개역개정, NIV)

6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를 것임이요

6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for they will be filled.

 

1. 한 주간도 일상의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기 위해 애쓴 교우들의 삶을 축복합니다. 새 힘을 얻는 주말과 주일 되시길 바라며 금요일 아침 묵상 시작합니다.

 

2. 우리는 모두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무엇엔가 주리고 목마른 인생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3. 무언가에 주리고 목마른 인생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에 대해 심리학자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H. Maslow)는 자신이 연구한 욕구의 단계 이론(Hierarchy of Needs)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4. 그는 인간의 본성을 크게 세 가지로 정의하고 여기에 맞추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주리고 목말라 하는 욕구에 관해 설명하였습니다.

 

5. 첫째, 인간에게는 만족하지 못하는 욕구가 있다고 했습니다.

 

6. 둘째, 그래서 인간의 모든 행동은 만족하지 못한 욕구를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합니다.

 

7. 셋째, 인간은 아래 단계의 욕구가 어느 정도 채워지면 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채우려 한다고 설명합니다.

 

8. 인간에게는 이런 본성이 있기에 모든 인간은 주리고 목말라 하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살아간다고 설명합니다.

 

9. 아브라함 매슬로우는 인간이 주리고 목말라 하는 욕구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습니다.

 

10. 가장 기본적이며 원초적인 1단계는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입니다. 이것은 주로 먹고 마시고 잠자는 것과 같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의식주에 대한 욕구를 의미합니다.

 

11. 2단계는 안전의 욕구(Safety Needs)입니다. 이것은 신체적 위험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 자기의 신체적 안전을 지키려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12.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안전의 욕구는 경제적인 안정에 대한 욕구를 의미합니다.

 

13. 3단계는 사회적 욕구라고 합니다. 모든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집단에 소속하려는 소속감과 사람들에게서 사랑받기를 원합니다.

 

14. 그래서 사회적 욕구를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Belonging and Love Needs)라고도 합니다.

 

15. 4단계는 존경의 욕구(Esteem Needs)라고 합니다. 자신이 속한 집단으로부터 명예나 권력을 누리며 사람들에게 인정과 존경을 받으려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16. 아브라함 매슬로우는 지금까지 소개한 4단계까지의 욕구를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라고 불렀습니다. 무엇인가 부족한 것을 채우려고 하는 욕구라고 해서 결핍 욕구라고 한 것입니다.

 

17. 마지막 5단계 인간이 가진 욕구는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입니다.

 

18. 이것은 자신이 가진 재능과 능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아가려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19.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서 5단계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상위 단계의 욕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 4단계까지의 욕구가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결핍 욕구라면 마지막 5단계 자아실현의 욕구는 자기의 내면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성장 욕구 또는 존재 욕구라고 구분하였습니다.

 

21.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처럼 사람은 영원히 만족할 수도, 충족할 수 없는 욕구들을 가지고 평생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22. 어떤 사람은 돈에 주리고 목말라 합니다. 어떤 사람은 쾌락에 주리고 목말라 합니다. 어떤 사람은 성공에 주리고 목말라 합니다. 어떤 사람은 명예에 주리고 목말라 합니다. 또 어떤 사람은 사랑에 주리고 목말라 합니다.

 

23. 하지만 문제는 인간이 가진 욕구는 완전히 채울 수도 없을뿐더러 설령 채운다 해도 만족할 수 없는 것이 인간이 가진 욕구의 가장 중요한 특징입니다.

 

24.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결핍의 욕구를 충족하는 것으로는 결코, 만족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25. 사람은 반드시 자아실현의 욕구라고 하는 존재 욕구를 추구하며 살아갈 때 비로소 인생의 가치와 의미를 느끼며 참된 만족과 기쁨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26. 그의 주장처럼 사람이 결핍의 욕구를 채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느끼는 대부분의 결핍은 채우고 나면 또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한 마디로 결핍의 욕구를 채우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것과 같습니다.

 

27. 예를 들자면, 배가 고프면 세상이 노랗게 보이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다 밥을 먹으며 당장 세상만사가 다 행복하게 여겨집니다.

 

28. 하지만 문제는 몇 시간만 지나면 사람은 또다시 배가 고파진다는 것입니다. 한 끼 배불리 밥 먹었다고 평생 배부른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29. 같은 원리입니다. 돈도 마찬가지고 소유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장은 만 불만 있으면 만족할 것 같고 행복할 것 같지만 막상 손에 넣으면 그것 가지고 사람은 절대로 만족하지 못합니다.

 

30. 십만 불이 있으면 좋을 것 같지만 십만 불가지면 백만 불 가지고 싶은 것이 인간의 욕구이고 욕심입니다. 이것은 성적 욕구나 명예나 성공의 욕구도 마찬가지입니다.

 

31. 하지만 결핍 욕구와는 다르게 존재 욕구는 주리고 목마를수록 그래서 그것을 채우려고 할수록 우리를 더욱 나은 사람으로 성장시킵니다. 만족과 기쁨을 누리게 합니다.

 

32. 예수님은 주리고 목마른 자가 복이 있으니 저희가 배부를 것이라고 가르치셨습니다. 배부르다는 것은 만족함을 누린다는 뜻입니다.

 

33.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아무것이나 주리고 목마른 자가 배부르다고 하지 않으셨습니다.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가 배부를 것이라 말씀하셨습니다.

 

34. 아브라함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가 왜 불쌍한 사람이 아니라 참 만족과 기쁨을 누리는 사람인지에 대한 매우 중요한 설명이 됩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육체의 배고픔과 갈증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사는 것처럼, 영혼의 배고픔과 갈증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님 나라와 그의 의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이 되게 하옵소서. 그래서 영혼의 참된 만족을 누리며 사는 복 있는 사람이 되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

jayoochur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