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일 화요-룻기의 에필로그

 

룻기 4:18-22(개역개정)

18 베레스의 계보는 이러하니라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19 헤스론은 람을 낳았고 람은 암미나답을 낳았고

20 암미나답은 나손을 낳았고 나손은 살몬을 낳았고

21 살몬은 보아스를 낳았고 보아스는 오벳을 낳았고

22 오벳은 이새를 낳고 이새는 다윗을 낳았더라

 

1. 보아스와 룻 사이에 아들이 태어났고 태어난 아기는 죽은 엘리멜렉의 기업을 잇는 나오미의 아들이 되었습니다.

 

2. 이웃 여인들은 나오미가 얻은 아들의 이름을 오벳이라고 하였고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라는 말씀으로 룻기의 이야기는 모두 끝이 났습니다.

 

3. 4:17 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

 

4. 하지만 룻기는 모든 이야기가 끝나는 룻기 417절 이후에 뜬금없어 보이는 베레스의 계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5. 베레스의 계보를 기록한 룻기 418절부터 22절까지의 말씀은 룻기에 대한 일종의 에필로그와 같은 말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얼핏 생각하기에 룻기가 모든 이야기를 마치면서 에필로그로 기록한 베레스의 계보가 뜬금없어 보입니다.

 

7. 하지만 베레스의 계보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8. 베레스로부터 시작한 계보가 누구에게까지 이어졌습니까? 다윗입니다.

 

9. 4:21-22 살몬은 보아스를 낳았고 보아스는 오벳을 낳았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이새는 다윗을 낳았더라

 

10. 룻기의 에필로그로 기록한 베레스의 계보는 단순한 계보가 아닙니다. 다윗을 통해 세우시려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계보라 할 수 있습니다.

 

11. 그런데 다윗의 계보는 장차 어디까지 이어지고 있습니까? 예수 그리스도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12. 1: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13. 룻기의 에필로그로 기록된 베레스의 계보는 다윗까지만 기록하고 있습니다.

 

14. 하지만 베레스의 계보는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다윗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온 인류를 구원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로 이어집니다.

 

15. 룻기의 에필로그로 기록한 베레스의 계보에는 직접적으로 기록되지 않았지만, 베레스의 계보에는 세 명의 이방 여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13. 누구입니까? 베레스의 어머니 다말과 보아스의 어머니 라합과 오벳의 어머니 룻입니다.

 

14. 다말과 라합과 룻, 세 여인은 비록 룻기가 기록하고 있는 베레스의 계보에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15. 하지만 룻기가 에필로그로 기록한 베레스의 계보는 다말이라는 여인이 시아버지 유다와 동침하여 낳은 아들의 계보입니다.

 

16. 마태복음 1장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는 룻기가 기록한 베레스의 계보에는 등장하지 않는 세 여인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7.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를 기록한 마태복음 13절은 다윗의 직계 조상이 되는 베레스에 대해 다말이 낳은 아들이라고 기록합니다.

 

18. 1: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19. 마태복음이 기록한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는 다말 뿐만 아니라 보아스를 낳은 라합과 오벳을 낳은 룻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 1: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21. 마태복음 1장이 기록한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는 유대인 출신의 다른 여자들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

 

22. 마태복음이 기록한 세 명의 여인 다말과 라합과 룻은 유대인들이 감추고 싶은 이방 민족 출신의 여인들이었습니다.

 

23.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를 기록한 마태복음이 감추고 싶은 세 명의 이방 여인만 굳이 기록한 것은 장차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실 하나님 구원에 대한 메타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4. 하나님께서는 도대체 왜 이스라엘 최고의 왕으로 칭송받는 다윗의 계보를 세 명의 이방 여인들을 통해 이루게 하신 것일까요?

 

25. 하나님께서는 왜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계보에 세 명의 이방 민족 출신의 여인들을 들어가게 하시고 굳이 이것을 만천하에 드러나게 하신 것일까요?

 

26. 다윗을 통해 이루실 하나님의 나라는 이스라엘 만의 나라가 아니라 이방인을 포용하고 받아들이는 나라임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27. 더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실 하나님 나라와 구원 역시 이방인을 배척하거나 차별하지 않는 모든 나라 모든 민족을 위한 것임을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28.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베레스의 계보를 통해 드러내신 하나님의 뜻을 제대로 깨닫지 못했습니다.

 

29. 그래서 자신들만이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잘못된 선민주의 신앙에 사로잡혀서는 이방인들을 배척하고 차별하였습니다.

 

30. 이것은 오늘날 기독교인이라고 하는 우리도 선민주의에 빠진 이스라엘 백성들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31.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은 나와 다른 생각, 나와 다른 문화, 나와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도 예수님의 사랑으로 포용하고 품어주는 것입니다.

 

32. 하지만 오늘날 너무나 많은 기독교인은 자신들의 기준과 신앙만을 절대적으로 여기면 자기 기준에 맞지 않는 사람은 배척하고 차별하는 수단으로 기독교 신앙을 이용합니다.

 

33. 하지만 다윗과 예수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계보는 이스라엘이 차별하고 무시하였던 이방 민족 출신의 여인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의 기도

예상치 못한 사람을 통해 역사하시는 하나님 아버지, 다윗과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계보를 비천한 이방 민족 출신의 다말과 라합 그리고 룻 세 여인을 통해 이루어가게 하신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하옵소서.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세상이 만드는 편견과 차별을 능히 뛰어넘는 믿음의 사람 되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자유교회 이진우 목사

jayoochur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