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와성경공부
하나님께 대하여 인색한 사람
[ 첨부파일 일괄 다운로드 ] [ 첨부파일 2개 ]
하나님께 인색한 사람.mp3

하나님께 대하여 인색한 사람

누가복음 12:13-21

 

오늘은 하나님께 대하여 인색한 사람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나누고자 합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어서 예수님을 찾아 왔습니다. 예수님을 찾은 이 사람의 문제가 무엇이었습니까? 유산 상속에 관한 문제였습니다. 아버지 죽어 유산을 남겼는데 유산을 나누는 문제로 형제간에 다툼이 생긴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돈은 아무리 가까운 형제사이라도 갈라놓게 만드는 인간 탐욕의 절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2:13 무리 가운데서 어떤 사람이 예수께 말하였다. "선생님, 내 형에게 명해서, 유업을 나와 나누라고 해주십시오."


돈이 어디 형제 사이만 갈라놓겠습니까? 모든 인간관계를 도무지 회복할 수 없도록 완전히 파괴하는 데에는 항상 돈 문제가 걸려있습니다. 돈은 형제관계는 물론이고 부부관계 심지어 부모자식과의 관계마저 파괴하게 만듭니다. 더 나아가 돈은 하나님과의 관계마저도 파괴하게 만듭니다. 돈은 없어도 문제이지만 많아도 문제를 일으킵니다. 그래서 성경은 단호하고 엄중하게 경고하길 돈을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모든 악한 일의 시작이라고 했습니다.


딤전6:10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다


유산상속의 문제로 자신의 형과 갈등이 생긴 사람이 예수님을 찾아와서는 무슨 부탁을 합니까? 이 사람은 예수님께 어떻게 해야 자기 형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묻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예수님께서 자기 형에게 명령하여 아버지의 유산을 자신과 나누게 해달라는 것입니다. 당시 종교지도자였던 랍비나 율법학자들은 이와 같은 분쟁에 있어서 율법에 근거하여 재판관 역할을 했습니다. 아마도 이 사람은 예수님을 율법교사쯤으로 여겨 이런 부탁을 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예수님을 찾아와서는 예수님의 도움을 구하는 이 사람에게서 매우 심각한 문제를 발견하게 됩니다. 무엇입니까? 이 사람은 예수님에게 어떻게 해야 형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묻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예수님의 권위를 가지고 무조건 자신이 원하는 대로 형에게 자신과 유산을 나누라는 명령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이 사람이 예수님을 찾은 것은 예수님의 가르침이나 지혜가 필요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오직 예수님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단지 이 사람만의 문제만이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문제입니다. 지금도 많은 교인들이 예수님께 찾아 교회로 나온다고는 하지만 정말 이들이 자신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대부분 이미 자기 스스로 판단하고 결론을 내린 자신의 해결책을 도와줄 전능자, 권력자, 권위자를 원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해결책보다 자신의 해결책을 도와줄 분으로만 예수님을 원합니다. 이런 사람을 요즘 말로 답정너(humblebrag)라고 합니다.


답정너식의 신앙은 매우 심각한 신앙의 왜곡과 타락을 가져오게 합니다. 이미 자신이 스스로 답은 다 정해 놓고는 하나님은 그저 자신이 내린 해결책을 돕기 위해 필요한 분으로만 여기는 것은 하나님을 자신의 문제나 해결해주는 수호신이나 우상으로 전락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이용해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는 일종의 우상숭배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찾아야 하는 이유는 이미 내 인생의 답을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닙니다. 내가 생각하고 내가 알고 있는 것으로는 내 인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닫고 나와는 다른 예수님의 가르침을 배우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을 찾은 이 사람은 예수님께 묻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자신이 이미 내린 답을 자신의 방식대로 해결하기만을 원했던 것입니다.


이 사람은 자신의 문제를 무엇이라고 여기고 있었습니까? 그는 자신의 문제가 무엇이고 그 문제의 답은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습니까? 그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아버지의 유산을 차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형이 내가 받아야 하는 아버지의 유산을 가로챘다고 여겼습니다. 빼앗긴 자신의 돈을 찾기 위해서는 하나님이 주신 율법의 권위를 이용해야겠다고 여긴 것입니다.


예수님을 찾았다고는 하지만 그는 이미 모든 진단과 결론을 내리고 예수님께로 왔던 것입니다. 다만 예수님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이 사람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무엇입니까? 돈이었습니다. 그런데 자신에게는 돈이 부족하다고 여겼습니다. 그 이유를 무엇이라고 여겼습니까? 자신의 형이 자신에게 돌아올 유산을 가로챘기 때문이라 여긴 것입니다.


이 사람은 자기 인생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모두 형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형은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 내 삶의 모든 문제는 형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형이 바르게 행동한다면 내 문제는 해결될 것입니다. 그런데 형이 바르게 행동하지 않으며 내 말을 듣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고통스럽습니다. 그러니 예수님께서 영적 권위를 가지고 자신의 형을 바로 잡아 달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지 이 사람만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우리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저를 포함하여 우리 모두는 자신의 불행이나 인생의 어려움을 자기 주위의 다른 사람들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갑니다. 내가 행복하지 못한 이유는 다른 사람이 제대로 행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하며 삽니다. 내 주변 사람들 때문에 내가 힘들고 불행하기에 그들이 변화되어야 비로소 자기가 행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죽을 때까지 다른 사람 원망하며 다른 사람 바꾸고 변화시키는 일에 목숨 걸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이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습니다. 자기 자신도 바꾸지 못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바꾼다는 것은 개 풀 뜯어먹는 헛소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누구라도 다른 사람을 바꿀 수 있는 힘도 능력도 없습니다. 우리가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자기 자신 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은 이미 스스로 자신의 인생에 대한 진단과 결론을 내리고 예수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으십니다. 이 사람은 모든 문제는 자신과 정당하게 유산을 나누지 않은 형에게 있다고 생각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오히려 이 사람에게 문제가 있음을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의 문제는 유산을 독차지 한 형에게 있지 않고 그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이 사람의 문제는 바로 탐심이라고 말씀하십니다.


12:15 그들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 하시고


예수님께서는 형에게 문제가 있다고 찾아온 이 사람에게 말씀하십니다. "문제는 형에게 있지 않다. 문제는 너에게 있다. 곧 너의 탐심이 문제인 것이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사람은 얼마나 기가 막혔을까요? 논리적으로 따지자면 이 사람은 참으로 억울한 사람이었습니다. 이 사람은 형에게 자기에게 돌아올 몫까지 빼앗겼습니다. 얼마나 호소할 곳이 없으면 예수님께 왔겠습니까! 하지만 예수님은 이 모든 것이 자신의 몫까지 차지해 버린 형 때문이라고 여기는 동생에게 너도 문제가 있다고 하신 것입니다.


도대체 예수님은 자신의 몫까지 형에게 빼앗겨 억울해 하는 동생에게 너의 탐심도 문제라고 말씀하셨을까요? 이 사람은 예수님을 찾아와서는 어떻게 해야 자신의 형과 다시 화해할 수 있는지 묻지 않았습니다. 그저 예수님께 부탁하기를 자기 형에게 명령하여 자신이 받아야 할 몫의 돈을 찾아달라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형과의 관계를 회복하기보다 형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든 상관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몫을 찾으려는 동생 역시 형과 다를 바 없는 탐욕스런 사람으로 여기신 것입니다.


사람들은 가난을 몹시 두려워합니다. 가난한 사람은 불쌍하고 불행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난이 좋은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가난한 것 하나 때문에 인생이 불쌍해지거나 불행해 지지는 않습니다.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사는 사람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우리 인생을 정말로 불행하게 만드는 것은 가난이 아니라 가난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를 불쌍하게 만들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제가 기억하는 어린 시절은 참으로 가난했습니다. 가난이 얼마나 비참하고 힘든지 조금은 압니다.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이요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수시로 암송하고 묵상하고 설교하지만 여전히 가난이 싫습니다. 물론 부자가 되기를 소원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가난하게 사는 것도 원치 않습니다. 이왕이면 가난한 것보다는 부족함 없이 풍요롭게 살고 싶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비록 인생이 제 뜻대로 되지 않아 가난해 지더라도 가난해 지는 것을 두려워하지는 않습니다.


가난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의 신앙조차 왜곡하게 됩니다. 가난에 대한 두려움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잘못된 신앙이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잘 믿으면 부자가 되게 해주실 것이라는 기복주의 신앙입니다. 예수님을 잘 믿으면 세상에서 성공할 것이라는 성공주의 신앙입니다. 이것은 결코 예수님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우리가 정말 두려워해야 할 것은 가난이 아니라 탐욕입니다. 결코 채울 수 없는 탐욕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돈을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깁니다. 돈을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예수님께서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어느 해 자신의 소유한 밭에 큰 풍년이 들어 엄청난 수확을 거두어들이게 되었습니다. 예상치 못한 풍년이 들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곳간에 자신이 수확한 곡식을 다 저장할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곡간에 자신이 수확한 곡식을 다 저장할 수 없게 되자 이 사람이 어떻게 했습니까? 여러분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자신이 가지고 있던 곳간을 허물고는 훨씬 더 큰 곳간을 지어서 자신이 수확한 곡식을 모두 쌓아 두기로 결심합니다. 그리고는 자기 스스로에게 말하기를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놓았으니 이제 편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놀아보자 했습니다.


12:18-19 그는 혼자 말하였다. 이렇게 해야겠다. 내 곳간을 헐고서 더 크게 짓고, 내 곡식과 물건들을 다 거기에다가 쌓아 두겠다. 그리고 내 영혼에게 말하겠다. 영혼아,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물건을 쌓아 두었으니, 너는 마음을 놓고 먹고 마시고 즐겨라.


아마 우리 가운데 누구라도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상치 못한 복권에라도 당첨이 되어 평생을 놀고먹을 돈이 생긴다면 과연 이 자리에서 하나님께 예배를 드릴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아마도 평생을 놀고먹을 돈이 생긴다면 사람들은 대부분 가장 먼저 육신의 안락과 향락을 먼저 생각할 것입니다. 그래서 남은 생애 매일같이 맛있는 음식을 먹고 좋은 술을 마시고 쾌락을 마음껏 즐기려고 할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사람의 계획이고 사람의 생각입니다.


하지만 이런 부자의 계획과 생각에 대해 하나님은 전혀 다른 계획을 말씀하십니다. 부자의 영혼을 오늘 밤 도로 찾아가신다면 어떻게 되겠느냐는 것입니다. 부자가 여러 해라는 말을 쓸 때에는 평생 동안혹은 영원토록이라는 의미가 짙게 깔려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오늘 밤 네 영혼을 도로 찾겠다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영원토록 누리게 될 부의 기쁨이 바로 오늘 밤 당장 끝장이 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12:20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어리석은 사람아,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네게서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장만한 것들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아마도 부자는 더 큰 곳간을 지어 자신의 수확한 곡식과 물건들을 가득 쌓아놓으려는 자신에 대해 세상에서 가장 똑똑하고 지혜로운 사람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어리석은 자라고 하십니다. 사람들이 부자라고 부러워하고 자기 스스로 누구보다 똑똑하다고 여기는 부자에 대해 유독 하나님은 왜 어리석은 자라고 책망했을까요? 돈만 있으면 든 것이 다 자기의 계획대로 자기의 생각대로 움직일 것이라는 부자의 생각이 어리석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얼핏 돈만 있으면 모든 것이 자기 계획대로, 자기 생각대로 움직일 것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에는 돈 가지고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너무나 많이 있습니다. 물론 많은 것들이 돈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돈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죽음에 관한 문제입니다. 영혼에 관한 문제입니다. 아무리 돈이 많은 부자라고 해도 죽음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아무리 돈이 많다고 해도 영혼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부자는 돈만 있으면 내 영혼에 아무런 문제도 없을 것이라 착각했습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부자의 영혼을 오늘밤 찾아 가시겠다고 선언하신 것입니다. 우리 생명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께서 그 생명을 다시 찾아가신다는 것입니다. 진짜로 오늘밤 당장 부자의 영혼을 찾아가신다는 뜻이기보다는 만약 오늘밤 네 영혼을 하나님께서 찾아가신다면 네가 그렇게 자신만만해 하던 그 모든 것이 누구의 것이 어떻게 되냐고 묻는 것입니다.


물론 부자의 죽음 이후에 자식들에게 유산이 상속될 수도 있을 것이고 그의 신분에 걸맞은 아주 장엄한 장례식이 치러지겠지요. 하지만 그 많은 재산이 누구에게 돌아가든지 간에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죽은 뒤 그의 재산은 그와 전혀 상관이 없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다시 말해 자신이 살아 있는 동안에만 자신이 가진 소유를 누릴 수 있다는 진실입니다.


그리고 자식에게 남겨진 유산은 부자가 생각하고 기대한 것처럼 자식들을 행복하게 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결국 자식들의 관계를 산산이 깨어버릴 것입니다. 마치 예수님에게 형과의 유산문제로 찾아온 사람처럼 말입니다. 어쩌면 이 비유는 예수님을 찾아온 사람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비유를 말씀하신 이유는 부나 돈 그 자체가 잘못이라고 말씀하시기 위함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부자에게서 문제를 삼은 것은 오직 자기 자신만을 위한 탐심 하나로, 부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가지고 부를 축적하고 사용할 때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말씀하시기 위함입니다.


부자가 자기 곳간을 채우고도 남는 엄청난 소출을 거두고 자기 스스로 하는 말을 보면 매우 중요한 특징을 발견하게 됩니다. 무엇입니까? 부자의 독백에는 하나님’, ‘’, ‘우리라는 말은 전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오로지 부자가 관심을 가지는 것이 무엇입니까? 오직 가 전부입니다. 영어성경을 보면 이것이 더욱 정확하게 드러납니다. 이 짧은 문장에 ‘I’‘my’가 무려 열 두번이나 반복되고 있습니다.


12:17-19 내가 곡식 쌓아 둘 곳이 없으니 어찌할까 하고 또 이르되 내가 이렇게 하리라 내 곳간을 헐고 더 크게 짓고 내 모든 곡식과 물건을 거기 쌓아 두리라 또 내가 내 영혼에게 이르되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 하리라 하되


Luke12:17-19 What shall I do? I have no place to store my crops.'Then he said, 'This is what I'll do. I will tear down my barns and build bigger ones, and there I will store all my grain and my goods. And I'll say to myself, "I have plenty of good things laid up for many years. Take life easy; eat, drink and be merry."


이게 무슨 뜻입니까? 부자에게 있어 유일한 관심은 오직 자기 자신 밖에는 없다는 것입니다. 비유에 등장하는 부자는 철두철미 자기중심적이며 이기적인 사람이었습니다. 다른 사람의 행복에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오로지 자신의 쾌락과 자신의 행복, 자신의 미래에만 관심을 둘 뿐입니다. 부자가 그토록 큰 소출을 거두기 위해선 주변의 수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자는 지금까지 자기가 부자가 되도록 도와준 농부나 이웃들에 대한 감사나 배려가 전혀 없습니다.


확신하건데 만약 부자가 창고를 더 짓기 보다는 자신의 창고를 채우고도 남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면 부자는 더 큰 창고를 짓고 그 창고를 채우는 것보다는 훨씬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웃들을 초청해서 잔치를 열어 이웃을 대접했다면 이전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부자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어느 누구와 자신의 미래를 의논하지도 않습니다. 오직 홀로 생각하고 홀로 자기 자신과 외로운 대화를 나누며 막연하게 자신이 가진 것으로 자신의 미래가 행복할 것이라는 착각에 빠져 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이 사람을 예수님은 어리석은 자라고 비유하신 것입니다.


부자는 자기 영혼을 위해 정말 좋은 것이 무엇인지를 몰랐습니다. 장차 자신에게 찾아올 죽음이나 죽은 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조금도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저 재산을 창고에 가득가득 쌓아둔 채, 지금 여기에서 평안히 쉬고, 배불리 먹고, 마음껏 마시는 것이 자기 영혼을 위한 가장 좋은 일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이 부자를 어리석은 자라고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의 비유에서 곳간이라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곳간만 크게 짓고 소유만 늘어난다고 해서 행복한 삶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탐심에 가득 찬 사람이 짓는 곳간과 그곳에 쌓는 소유는 오히려 화가 되고 맙니다. 영혼의 풍요함이 선행되지 않은 채 물질의 풍요만으로 인간은 절대로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곳간에 돈만 채워서 인생은 행복해지지 않습니다. 물론 곳간에 돈도 채워야 하지만 다른 사람을 대하는 친절과 배려 사랑과 같은 인격도 채워야 합니다. 나아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과 하나님을 믿는 믿음도 채워야 인생은 행복합니다. 때론 더 좋은 것을 채우기 위해 돈을 비우는 모험도 필요한 것이 인생입니다. 돈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돈 이전에 돈을 바르게 쓸 줄 아는 믿음과 사랑이 있어야 그 돈이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남도 행복하게 하는 선한 도구가 됩니다.


비유의 결론으로 예수님은 부자에 대해서 말씀하시기를 자기를 위해서 재물을 쌓아 두고 하나님께 대하여 인색한 사람이 이와 같이 될 것이라고 하십니다. 무슨 뜻입니까? 세상과 육체를 향해서는 남부러울 것이 없었지만 하나님과 영혼을 위해서는 형편없이 빈곤한 사람이라는 말씀입니다.


12:21 자기를 위해서는 재물을 쌓아두면서도 하나님께 대하여 인색한 사람은 바로 이와 같이 될 것이다."


말씀을 마칩니다. 자신의 욕심을 채울 수 있는 길은 세상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특별히 돈과 재물에 대한 욕심을 채울 수 있는 길은 세상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저는 이제까지 이쯤 벌면 충분하다고 말하는 사람을 단 한 번도 만나지 못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보다 조금 더 가지길 원합니다. 열심히 일해서 지금보다 조금 더 가지게 되면 또 다시 조금 더 가지길 소원합니다. 결국 아무리 채우려고 해도 도무지 채우지 못하는 욕심 때문에 사람들은 평생 욕심의 노예가 되어 살아갑니다.


돈에 대한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한 번 돈에 대한 욕심에 사로잡히면 죽는 순간까지 돈의 노예가 되어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돈의 노예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이 행복한 인생을 살 수는 없습니다. 결국 죽을 때까지 채우지 못하는 자신의 욕심 때문에 불행한 인생을 살다가 인생을 마치게 됩니다. 욕심을, 탐심을 채우려고 하는 순간 인생은 도무지 되돌릴 수 없는 심각한 나락에 빠지게 됩니다. 욕심은, 탐심은 채우는 것이 아니라 물리치는 것입니다. 바라기는 이 깨달음이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저와 여러분의 신앙의 여정에 반드시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새글 0 / 330 

검색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공지 자유교회 주일예배 영상 Youtube 링크 2021.04.21 3836
330 십계명9-우리의 신앙, 믿음입니까? 미신입.. 2025.04.06 106
329 십계명8-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 2025.04.06 95
328 십계명7-어떤 것으로도 하나님을 제한하지 .. 2025.03.18 136
327 십계명6-코람데오(Coram Deo) 2025.03.18 132
326 십계명5-우리는 누구를 섬기며 살고 있는가? 2025.03.18 133
325 십계명4-왜 첫 번째 계명이 하나님에 대한 .. 2025.03.18 130
324 십계명3-십계명을 주신 하나님은 어떤 하나.. 2025.03.18 125
323 십계명2-십계명을 주신 하나님은 어떤 분인.. 2025.03.18 127
322 십계명1-십계명 지금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 2025.03.18 167
321 시험15-얼마 동안 떠나갔다 2025.02.01 343
320 시험14-하나님을 시험하지 말고 자신의 믿.. 2025.02.01 370
319 시험13-성경 말씀을 이용한 시험 2024.12.17 538
318 시험12-성전에서 시험받으신 예수님 2024.12.17 576
317 시험11-누구를 경배하며 살 것인가? 2024.12.17 518
316 시험10-세상의 질서를 거스르는 믿음의 삶 2024.12.17 572